명량, 역사 왜곡과 진실? 제목, 잃어버린 대륙(임진왜란의 진실)
명량, 역사 왜곡과 진실? 제목, 잃어버린 대륙(임진왜란의 진실)
당시 유교사상에 편향된 시대라서 명분을 중시하는 역사의 정리 속에 일본의 시각으로 정리했다. 살펴보면 누르하치와 맞먹든 여진족 반란을 진압했음에도 불구하고 신립장군이 전사하므로 만주대륙을 상실하게 되었고, 배설의 '침략군 상륙 전 심해섬멸'이 받아들여지지 않아서 대마도주 종의지( 평의지)를 회유하지 못해 대마도를 영원히 상실하고 말았다.
부산 상륙전 심해 수중전이 받아들여졌더라면 대마도의 운명이 바뀌었을 것임에도 당시 동인 조정과 군 수뇌부는 오히려 군권을 찬탈하고, 역모로 몰아 희생시켰다. 침략군을 심해에서 섬멸하고 대마도의 수복을 하고자 했고, 적장 평의지를 무계진까지 추격하였음에도 비겁자로 왜곡되어 분노마저 느껴진다. 임진왜란이 문제가 아니라 승리에 고취된 전후 조정의 대처가 문제였다. 패전을 인정하고 혁신할 기회를 놓치고, 조선의 지도부가 와신상담의 필요성을 무시한 전후 처리의 문제는 분명 짚고 넘어가야 할 역사적 과제이다.
동인 조정과 군 수뇌부는 오히려 군권을 찬탈하고, 무장들을 역모로 몰아 희생시켰다. 침략군을 심해에서 섬멸하고, 대마도의 수복을 원했던 배설 장군은 영화에서 왜곡되어 상업영화의 자기 민족 비하를 통한 쾌감이 바람직한 것인가?
따라서 여러 역사적 임진왜란의 자료를 교차 검증하여 진실을 파헤친 다큐멘타리소설을 집필하게 되었다.
역사 왜곡을 통해 자기 민족을 헐뜯고 있는 역사 왜곡 문제를 보면서 상업주의의 폐해와 역사의 진실 사이에 고민해본다. 역사의 실존인물들에 대한 구국적 청야작전, 이순신 장군에게 군대와 거북선을 넘겨준 명장을 악의적으로 비난 깎아내린 영화의 사실 왜곡을 바로잡기 위해서 역사의 진실을 알려야겠다. 역사에서 진실은 곧 국력이기 때문이다.
왜? 무장들을 역적으로 몰았나?
명나라와 일본 간의 강화협상에서 유성룡은 조선과 일본 간의 강화를 위해서는 군권의 장악이 무엇보다 필요했었다. 특히 유격전으로 일본군을 괴롭힌 장수의 제거를 왜군들 희망이었다. 따라서 배를 팔아먹었다는 비겁자로 조직적으로 고대일록으로 유포됐다.
명군 지휘부는 조선 조정에 대해 일본군을 공격하지 말라고 강요했다. 일본군을 달래기 위해서였다. 명군 지휘부는 자신들의 명령을 어기고 일본군을 공격한 조선군 장수들을 잡아다가 매질을 하기도 했다. 조선군의 작전 통제권은 명군 지휘부에 의해 박탈되었다. 선조는 양위를 선언하고 칩거하여 왕권이 행사되지 못하든 전란 중이었다.
고니시는 ‘명나라 황녀(皇女)를 천황의 후궁으로 주고, 조선 영토 가운데 4도를 떼어주고, 무역을 허락하고, 조선의 왕자를 일본에 인질로 보내야만’ 조선에서 철수할 수 있다고 했다. 명군 지휘부는, 벽제전투 패전과 갈수록 불어나는 전비(戰費) 부담에 대한 명 내부의 불만을 무마하기 위해 ‘일본군이 서울에서 철수했다.’는 가시적 성과가 필요했다. 일본군의 서울 철수는 양자의 이해가 맞아떨어진 ‘일시적 성과’였다. 1593년 4월 20일, 남쪽으로 철수하는 일본군을 ‘보호하기 위해’ 명군 장졸들이 조선군을 막아서고 있었다. 명군 지휘부는 일본군을 추격하던 조선 장수 변양준(邊良俊)을 붙잡아 목을 쇠사슬로 묶은 뒤 난타했다. 명군의 ‘에스코트’ 아래 서울을 무사히 빠져나온 일본군은 남해안에 머물면서 철수할 생각을 전혀 하지 않았다. 명군도 삼남의 요충지에 병력을 배치하여 일본군을 견제하려 했을 뿐 전의(戰意)를 보이지 않았다. 역사가의 주 임무가 사건의 기록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가치의 재평가에 있다. 역사에서 승리의 영웅은 과대 포장되어 널리 알려지고 교육되는 반면, 큰 실패한 사례들은 진실을 내포하고 묻힌 이야기이다. 역사 그 자체는 반복되지 않는다. 그러나 실패에서 교훈을 얻지 못하면 그러한 흐름은 분명 반복된다. 역사는 매혹적이며 진실을 이해하는 산 증거이기 때문이다.
임진왜란에 대한 일본은 ‘시마즈 가문’과 ‘가토 가문’의 사서를 역사에 많이 참조하고 있다. 반면 우리나라는 가문의 기록을 완전 무시하고 관의 기록만 인정하고 있다. 역사에 있어서도 관존민비의 사상의 벽을 넘지 못하고 있다. 역사물이 국가주의 독점물이라는 생각부터가 잘못된 발상이다. 중요 전투에 있어 참여자의 기록을 무시하고 국가의 기록만이 인정되어야 할 이유가 어디 있는가? 국가와 관의 기록만이 정사로 인정하는 풍토가 사상의 자유를 방해하고 있다. 역사에 있어 관료주의 편식은 사실의 왜곡시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종군한 현장의 기록을 무시하고 진실이 국가에 있을 것이라는 관료주의 편향된 시각으로 왜곡된 기록을 국민들은 비판 없이 사실로 믿게 될 가능성이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