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에대하여

[스크랩] 중성미자(뉴트리노, neutrino) 죽은존재가 아니다.

自公有花 2010. 9. 9. 13:15

중성미자(뉴트리노, neutrino)

 

 

 

 

 

중성미자는 물리학에서는 질량이 zero이고 광속으로 움직인다. WIMPS (Weakly Interactive Massive Particles, 우주 초기에서 살아남았을 것이라고 생각되는 가상의 입자) 그 숫자가 워낙 막대하기 때문에 아주 조그만 질량만 가지고 있어도 우주 전체의 질량에 큰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우주에는 하나의 원자당 수백만개의 중성미자가 존재한다. 중성미자가 원자의 수보다 매우 크기 때문에 원자무게의 수억분의 일만 되어도 중요한 중력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별의 중심에서의 갑작스런 붕괴가 초신성을 유발한다. 이때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는데 중성미자의 형태로 방출된다. 핵이 붕괴할 때 그 속에 약 10^57개의 원자가 있는데 한 개의 원자에 몇 개의 중성미자가 방출된다. 따라서 초신성은 약 10^58개의 중성미자를 방출하게 된다. 보통의 원자들은 중성미자에 대해서 투과한다. 지구를 지나는 중성미자는 지구를 그냥 똑바로 지나가게 된다.

 

1초에 약 30만 킬로미터를 가는 광자의 속도는 절대 불변입니다. 중성미자는 물속에서 빛보다 빠르다. 물과 같은 매질에서 빛은 원자및 분자의 전자기장을 진동시키는 방식으로 전파되기 때문에 진공상태에서 보다는 속도가 느려진 것이다.   광속에 가까운 속도의 중성미자를 가속한다면, 물과 같은 매질 속에서 속도가 느려진 빛을 추월이 가능 할것이다.

 

뉴트리노를 방출하는 핵반응에서 뉴트리노는 반응의 에너지 중에서 상당부분을 가져가지만 운동량은 거의 가져가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태양의 핵융합반응을 포합한 모든 종류의 핵반응에서 나오는 뉴트리노는 모두 전자뉴트리노입니다. 또한 뉴트리노의 검출반응인 역 베타붕괴 역시 전자뉴트리노에 의한 반응이다.

 

 

태양에서 뉴트리노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중간에 다른 두 종류의 뉴트리노, X 뮤뉴트리노와 타우뉴트리노로 변환되는 반응이 있다면 지구에서 검출되는 전자뉴트리노의 양은 그만큼 감소 될 것이다. 그런데 이런 변환반응이 일어나려면 뉴트리노에 약간의 질량이 있어야 한다.

 

 

 

중성미자는 다른 중성미자를 포함해서 그 어떤 물질과도 거의 상호작용을 하지 않기 때문에 원자나 분자와 같은 구조를 만드는 것은 사실상 불가하다.  중성미자를 극저온 상태로 만들면, 중성미자를 정지시킬수도 있을 거 같은데도 현재 과학기술로 실험실에서 만들 수 있는 최저온도에서도 중성미자는 여전히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운동한다.

 

 

중성미자는 무엇이든 통과해버리는 그 특성 때문에 미래의 유용한 통신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중성미자 뉴트리노는 질량이 0 이라고 생각되어 왔다. 그러나 정지 질량이 있을 것으로 추정 할 수 있다.

 

 

성불교_()_

출처 : 성불교 聖佛敎
글쓴이 : 聖佛錫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