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동산 재테크

한국도 ‘서브프라임 쓰나미’ 오나

自公有花 2007. 9. 17. 09:08

한국도 ‘서브프라임 쓰나미’ 오나


한국판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주택담보대출) 재앙’이 발생할 것인가.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의 금융파생상품 부실우려로 세계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 커진 가운데 국내에서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금융감독당국 고위 관계자들이 구두발언을 통해 앞다퉈 불안심리 차단에 나서고 있지만 시장은 쉽사리 안정되지 않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확산되는 불안 = 부동산 PF대출 부실 불안감은 지난 7일 중견 건설업체인 대주건설이 보증을 섰던 자산유동화증권(ABS) 350억원의 대지급을 거절하면서 최고조에 달했다. 당시 ABS가 부도위기에 처하자 당장 총 4종 2800억원 상당의 대주건설이 보증한 ABCP의 부도 가능성이 대두됐다. 다행히 대두건설의 ABS는 부도처리되지 않았지만 잇따른 건설사의 부도를 내고 있는 데다 몇몇 건설사의 신규 부도 가능성이 언급되면서 시장에서의 불안감이 갈수록 고조되고 있다.

특히 분양시장이 급속히 경색되면서 분양대금을 담보로 발행된 ABS와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의 부실우려가 심화하고 있다. 실제올 1월 수도권 7만1072호이던 미분양 아파트는 지난 6월 8만4364호로 늘었다.

◆문제는 부실의 전이 = 문제는 PF대출이 유동화하면서 건설시장 부실이 금융부실로, 또다시 여타부문의 부실로 전이될 수 있다는 점이다. 금융감독당국에 따르면 지난 6월말 현재 금융권 전체 부동산 PF 유관자금은 총 69조9000억원이다. 금융권별로는 은행 31조2000억원, 저축은행 12조5000억원, 보험사 4조2000억원 등이다. 그러나 부실이 전이되기 시작하면서 문제는 69조9000억원 규모가 아니라는 점이다. 금융사 신용경색으로 중견급 저축은행의 흑자도산이 줄이을 경우 그 파장은 예측하기 힘들다. 그나마 다행히 우리의 경우 미국과 달리 전체 유동화 규모나 부실 전이의 정도 파악이 쉽다는 점이다.

◆ 부동산 규제의 부작용 = 이 같은 메가톤급 부실 가능성에 대해서는 금융감독 당국과 전문가들 모두 가능성이 낮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부실자체의 현실화 가능성에는 금융감독당국과 전문가들간에 ‘온도차’가 뚜렷하다.

전문가들은 지금처럼 부동산 규제가 지속된다면 분양시장 침체도 지속될 것이라고 우려한다. 저축은행 PF대출 연체율은 정부의 부동산 규제에 따라 2005년말 5.8%에서 2006년말 10.3%, 2007년 6월말 13.0%로 급증하고 있다.

이정길 하나대투증권 신용평가 담당 애널리스트는 “주택전문 건설업체들이 미분양 때문에 자금압박을 받는 것은 사실”이라며 “앞으로도 이 문제가 단시간에 해결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박선호기자 shpark@munhwa.com

■부동산 프로젝트파인낸싱(PF), PF 자산유동화증권(ABS), PF 자산담보부 기업어음(ABCP)이란 = 건설사가 부동산 개발이익 분담을 약속하고 금융사에서 돈 빌리는 것은 PF대출이라고 한다. 금융사는 이 대출을 담보로 다시 증권(ABS)이나 기업어음(ABCP)를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판다. 이 때 건설사는 분양이행을 법적으로 약속하고 은행은 투자자에게 판 증권의 재매입을 약속해 발행한 증권과 기업어음의신용도를 높이기도 한다.

[Copyright ⓒ 문화일보 & munhw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